본문 바로가기
블로그세상

전두환 쿠데타 (역사를 되돌아 보다)-5.18 광주 민주화 운동

by 꽃길만13 2023. 12. 6.
반응형

전두환

1. 출생: 1931년 1월 18일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 263

2. 사망: 2021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3. 재임기간: 

 -제12대 대한민국 대통령 1981~1988.02

-제11대 대한민국 대통령 1980.09~1981

 

 

 

 

5.18 민주화 운동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민족의 불굴의 정신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시작된 이 사건은 한국 민주주의 투쟁의 결정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역사적 맥락

1. 박정희 시대:

 

박정희에 의해 이끌어진 1961년 군사 쿠데타는 권위주의 시대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박정희 정권은 시민의 자유와 정치적 자유를 희생시키면서 급속한 산업화를 강조했습니다.

 

2. 박정희 암살 사건
박정희는 1979년에 암살당했고, 이것은 정치적인 불안정과 권력의 공백으로 이어졌습니다.

1979년 12월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전두환 장군이 정권을 잡았습니다.

 

3. 계엄령의 중지
박정희 암살의 여파로 초기에는 문민통치로의 전환에 대한 희망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두환은 계엄령을 해제하겠다는 약속을 어겨 시민들 사이에 불만을 일으켰습니다.

 

 

 

전두환의 권위주의적 통치

1. 반대의 중심으로서 광주:
정치적 행동주의의 역사를 가진 광주는 반정부 감정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광주 시민들은 억압적인 정치 환경에 점점 더 좌절했습니다.
2. 계엄령 선포:
1980년 5월 전두환은 전국적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반대 의견을 진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했습니다. 이 조치는 특히 광주에서 국민들의 분노를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3. 학생 및 민간인 시위:
광주의 학생들과 시민들은 군정의 종식과 민주적인 통치의 회복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습니다. 다양한 사회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끌어 모으면서 시위는 탄력을 받았습니다.

 

 

 

1980년 5월 18일

1. 군사적 단속:
1980년 5월 18일, 군대는 잔인한 힘으로 광주의 시위자들을 진압했습니다. 그 도시는 시민들과 군대 사이의 비극적이고 폭력적인 대립을 목격했습니다.
2. 인명 손실 및 부상:
군의 대응은 수많은 인명을 앗아갔고, 더 많은 부상자를 남겼습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희생된 상징이 되었습니다.
3. 반항의 유산:
진압에도 불구하고, 저항 정신은 계속되었습니다. 광주에서의 사건들은 더 넓은 민주화 운동에 활력을 불어넣었고, 궁극적으로 한국에 더 민주적인 정부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 여파와 유산

 

1. 국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민족의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권위주의 통치의 잔혹성을 폭로하고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높였습니다.
2. 민주적 전환:
이 운동은 한국의 광범위한 민주적 전환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것은 군사 통치를 해체하고 더 대표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치 체제를 수립하는데 기여했습니다.
3. 민주주의의 상징:
광주와 5.18 사건들은 한국의 민주화 투쟁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그 운동의 참가자들에게 헌정된 광주항쟁기념관은 자유를 위해 행해진 희생을 상기시켜 주는 곳입니다.

 

 

이러한 국민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신체제를 활용하여 11대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언론 통폐합삼청교육대를 설치하는등 군부 독재가 시작됩니다.

 

혼란스러운 시대에 서울에서 대학생 중심으로 시위가 조직되고 진행되는 상황에서 전두환 정부는 끊임없는 탄압과 무력을 행사하며 무고하게 고문을 받고 죽게 된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 군(1987 1월 14일)과 시위 중 경찰이 발포한 최루탄에 맞아  죽게된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 군(1987년 6월 9일)이 사건을 계기로 전 국민의 공분을 사게 됩니다.

 

6월 10일을 기점으로 6개월 동안 전국 33개 도시에서 하루 100만 명에 달하는 군중이 시위를 벌였습니다.

6월 항쟁이 정점에 이르자 전두환은 수습을 위해 노태우를 앞세워 직선제로 개헌을 약속하는 6.29선언을 발표하면서 막을 내리게 됩니다.

반응형